따뜻한 토론교육

따뜻한 토론교육

  • 분류 전체보기 (81)
    • 따뜻한 토론교육 여름호(제6호) (11)
      • 토론 이야기 (4)
      • 교실 이야기 (7)
    • 따뜻한 토론교육 겨울호(제5호) (10)
      • 토론 이야기 (6)
      • 교실 이야기 (3)
      • 사는 이야기 (1)
    • 따뜻한 토론교육 봄호(제4호) (12)
      • 토론 이야기 (7)
      • 교실 이야기 (2)
      • 사는 이야기 (3)
    • 따뜻한 토론교육 가을호(제3호) (14)
      • 토론 이야기 (8)
      • 사는 이야기 (5)
      • 교실 이야기 (1)
    • 따뜻한 토론교육 봄호(제2호) (12)
      • 토론 이야기 (8)
      • 사는 이야기 (4)
    • 따뜻한 토론교육 가을호(제1호) (22)
      • 토론 이야기 (7)
      • 교실 이야기 (5)
      • 사는 이야기 (7)
      • 토론모임 이야기 (3)
  • 홈
  • 태그
  • 초등토론교육연구회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따뜻한 토론교육

컨텐츠 검색

태그

초등토론교육연구회 https://cafe.daum.net/debateedu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따뜻한 교실토론, 함께 공부해요.
  • 2022년 1월, 스물한 번째 배움터

아카이브

따뜻한 토론교육 겨울호(제5호)/토론 이야기(6)

  • 선생님, 왜 여우 목도리 했어요?

    선생님, 왜 여우 목도리 했어요? 고양토론모임 최보영 11월 말이 되니 날이 추워져서 패딩 점퍼를 꺼내 입었습니다. 학교에 가니 우리 반 아이가 제 옷을 보고 이야기합니다. “선생님, 왜 여우 목도리 했어요? 우리한테 여우 목도리 책 읽어주셨잖아요.” “아... 그렇네. 이게 여우 털인가?” 패딩 점퍼의 모자에 부드럽고 풍성한 흰색 털이 붙어 있었거든요. 깜짝 놀라 옷을 벗어서 안쪽 꼬리표를 보니! ‘배색 여우(폭스) 털 100%’라고 쓰여 있었습니다. “선생님이 예전에 산 옷이라 몰랐어. 미안해.” 집에 돌아와서 다른 패딩 점퍼의 모자를 살펴보니 ‘천연 모피(여우)’, ‘너구리 털 100%’였습니다. 참 부끄러웠어요. 그다음 날부터는 모자의 털을 뗀 패딩 점퍼를 입고 학교에 갑니다. 우리 반 아이들도 ..

    2023.12.06
  • 군포 초등토론교육연구회 이야기

    군포 초등토론교육연구회 이야기 군포토론모임 김정순 이야기 하나 “우리 반 교실 속 토론 나눔” 가. 삶을 나눠요. 달에 두 번 화요일에 만나요. 저녁 6시에 당동초등학교 교실에서 만나요. 2시간 공부하러 만났는데 1시간 10분을 삶 나누는 데 써요. 교실과 학교 이야기를 마음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곳이 없는데 이곳에서는 마음 편히 할 수 있거든요. 2주 동안 못 만난 삶은 충분히 나눈 것 같아요. 2023년 5월 2일 삶 나누기 김○○: 6학년을 한 번도 안 해봤는데 부장을 신청했다. 사회 교과가 조금 걱정되어 책 읽고 있다. 아이들이 잘 모르고 잘 들어서 이야기 들려주듯이 하면 되겠다 싶다. 학급세우기 할 때 잘 따른다. 시를 주마다 만날 거야. 비유하는 표현만이 시가 아니다. 윤동주 ‘서시’ 암송..

    2023.12.06
  • 오늘도 깜냥깜냥

    오늘도 깜냥깜냥 군포토론모임 장양선 2학기 온 책 읽기 책으로 을 골라뒀어요. 아이들이 무척 좋아하는 책이기도 하고, 2학년 교육과정에 나오는 동물 이야기랑 연결지으면 재미있겠다 싶었거든요. 선생님들과 이야기 나눈 끝에 깜냥 중에서도 2권을 아이들과 같이 읽기로 했어요. 2권은 깜냥이 피자 가게에 가서 일하고 여러 사람을 만나요. 할아버지, 할머니 이야기도 나오고 아이들이 자주 보는 유튜브 이야기도 나오고, 먹이가 없어서 횟집의 물고기를 훔쳐먹는 수달 이야기도 나와요. 아이들과 이야기할 거리가 넘쳐나서 책 읽는 도중에 손과 입이 근질근질하더라고요. 맞아요, 사실 제가 이 책이 너무 재미있어서 아이들과 함께 읽고 싶었어요. 아이들은 고맙게도 이 책을 무척이나 좋아했고, 온 책 읽기 하는 중에 깜냥 6권이 ..

    2023.12.05
  • 토론 수업을 안 했습니다. 교실 분위기가 그래서...

    토론 수업을 안 했습니다. 교실 분위기가 그래서... 군포토론모임 유준희 올해는 토론 수업을 안 했습니다. 우리 연구회에 발을 들인 후 해왔던 관성으로 계속할 법한데 올해는 토론을 해보지 못했습니다. 이번엔 저학년이라 마냥 안 했나 싶었는데, 어느새 토론 수업을 조금 꺼리게 된 제 모습을 보았습니다. 왜 그럴까 떠올려봤더니 작년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됩니다. 일단 22년 아이들과는 토론 수업을 곧잘 해냈습니다. 토론에 익숙하기도 했고 무엇보다 토론을 좋아했던 아이들이었습니다. 하지만 아이들 사이에 다툼이 잦았고 중재하고 다독여야 할 일이 참 많았습니다. 어찌 보면 그 다툼은 진정한 현실 토론일 수 있는데, 토론 수업에서 보여주었던 모습과는 영 딴판이었습니다. 토론 수업에서는 규칙과 예절을 지키며 참여했던 ..

    2023.12.05
  • 1년 전 가을, 나의 첫 토론모임 후기

    1년 전 가을, 나의 첫 토론모임 후기 군포토론모임 구련아 토론모임에 참여한 지 벌써 1년이 되었습니다. 블로그를 정리하다가 작년 가을, 토론모임에 처음 다녀온 소감을 끄적여둔 글을 발견했어요. 1년이 지난 지금 읽어보니 그때의 충격이 확신이 되어 모임을 꾸준히 나갈 힘을 주었던 것 같습니다. 첫 토론모임을 막 마치고 온, 그때 그 날것의 감상을 공유해봅니다. 인문학을 다시 시작하자 건강한. 세련된. 따뜻한. 멋있는. 유창한. 연결된. 오늘 처음 만난 사람들에게서 느낀 것들 오랜만에 맡아본 인문학의 향기였다. 왠지 익숙하고 편안했다. 인문학을 다시 시작해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책과 사람을 가까이하자 낡아지지 않게 나를 새로이 하자 나날이 한 걸음씩 나아가자 다른 사람이 나를 볼 때에도 이러한 향기를 ..

    2023.12.05
  • 어린이 회원과 함께한 토론모임 이야기

    어린이 회원과 함께한 토론모임 이야기 군포토론모임 오중린 나는 태교로 토론 공부와 6학년 공부를 했다. 아기가 뱃속에 막 자리를 잡았을 때, 연수회에서 실과 교육과정에 토론을 넣어 활동한 것을 발표했다. 서 있는 것이 힘들어 앉아서 발표한 게 기억난다. ‘아이를 낳기 직전까지 토론모임에 갔을 것이다. 학교도 아이 낳기 며칠 전까지도 나갔으니까.’라고 쓰고 다음 카페에 가보니 세상에, 3월에 한 번 나가고 한 번도 못 나갔나 보다. 그래, 6학년 처음 하면서 좌충우돌, 첫아기 임신하고 몸도 힘들었겠지. 아이를 낳고 남편 회사가 멀어서 남양주로 이사를 했다. 그래서 모임에 아예 못 나갔다. 그러다 2017년 4월에 봄 나들이한다고 하여 얼른 갔다. 그렇게 우리 아이에게는 엄마가 토론모임으로 1박 2일 ‘놀러..

    2023.12.05
이전
1
다음
초등토론교육연구회
https://cafe.daum.net/debateedu

티스토리툴바